제주의 역사
제주인들이 살아온 역사 이야기
-
대정성지
주소지: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안성, 보성, 인성리 일대 유적내용: 대정현성(大靜縣城)은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태종(太宗) 18년(1418) 봄 대정현감(大靜縣監) 유신(兪信)에 의해서 축조되었다. 당시에는 동,...Category방어유적 Reply0 Views3157 -
No Image
반도의 탐라 지배
제주도는 그 역사적, 지리적 특성상 군현체계에 의한 중앙의 직접 지배가 바로 이루어지지 않았다. 그리하여 성주(星主), 왕자(王子)와 같은 전통적 지배체계를 중앙정부가 인정하되, 이들 지배체계를 정부가 장악함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3482 -
No Image
탐라의 교역품
탐라에서 수출한 것은 먼저 가(珂:어패류로 만든 말 장식품)를 들 수 있다. 이는 고구려 문자왕이 중국 위(魏)에 사신을 보냈을 때 고구려를 통해 중국에 방물로 바쳐지던 탐라 특산 가(珂)가 백제로 인해 조공하지 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3232 -
No Image
탐라의 대외교류
해상을 통한 탐라인들의 교역이 이른 시기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은 문헌의 기록 뿐만 아니라 제주 산지항(山地港)과 북제주군 금성리유적에서 출토된 화천(貨泉)을 비롯한 유물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데, 이들 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3208 -
용담동제사유적
[인화문토기와 중국도자기] 제주시 용담동 해안가 언덕의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. 해안에서의 거리는 300m 정도이며 해발 17.5m로 주변대지 보다 약 15m 가량 높은 구릉상면에 자리잡고 있다. 주변은 동서로 150m 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3801 -
종달리패총유적
[종달리패총출토 토기와 철기] 북제주군 구좌읍 종달리 1838-3번지에 위치하고 있다. 유적 일대는 지미봉(地尾峰)을 정점으로 남북'U'자형 해안이 발달되어 있으며 모두 4개 지구에서 패총이 확인되었다. 1, 2지구는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4892 -
금성패총유적
[금성패총출토 고내리식토기] 북제주군 애월읍 금성리 446-1번지 일대에 위치하며 인근에는 금성천(錦城川)이 흐르고 있다. 해발 7-10m의 완만한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해안과는 300m가량, 곽지패총과는 동쪽으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5009 -
고내리식 토기
[고내리식토기] 탐라중기 이후의 대표적인 유물로 적갈색심발형토기(赤葛色深鉢形土器), 즉 '고내리식토기'로 불리워지고 있다. 이 토기는 높이가 25-30cm 정도이며 납작바닥과 짧게 외반된 구연부가 특징적이다. 태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5518 -
No Image
고내리유적
고내리유적은 북제주군 애월읍 고내리 650-4번지 일대로,해안에서 500-700m 정도 떨어진 평탄대지에 위치한다. 유물산포지가 확인되는 지점은 마을 동쪽으로 약 10,000여평에 해당하며 인근 남쪽에는 고인돌 1기가 자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5322 -
탐라 중기의 문화
[고내리유적 전경] 이 시기는 우리나라 전체로 보면 삼국시대 후기와 통일신라시대에 대응된다. 고고학적으로 보면 삼국시대는 회청색경질토기 혹은 도질토기와 발달한 철기문화로서 세련되고 성숙된 고대문화의 황...Category탐라문화의 형성과 전개 Reply0 Views5327